Skip to content

swap memory

2019.03.14 08:35

WHRIA 조회 수:62

https://blog.2dal.com/tag/oom/

 

vm.overcommit_memory

앞서, malloc() 에서 가용영역을 넘어선 메모리영역을 리턴하는 것이 overcommit이라 설명했는데,
vm.overcommit_memory Kernel Parameter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overcommit rule을 설정할 수 있다.

vm.overcommit설명
0 (디폴트) heuristic에 따라 overcommit여부를 판단. 메모리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,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해서 메모리를 확보
1 무조건 overcommit 허용. 메모리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 OOM Killer 동작(0과 같다)
2 overcommit 불가.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에러 발생 [Swap size] + ([RAM size] * vm.overcommit_ratio/100)

대부분의 서버는 다음과 같이 기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.

$ sudo sysctl -n vm.overcommit_memory
0
$ sudo sysctl -n vm.overcommit_ratio
50 

의도하지 않게 프로세스가 OOM Killer에 의해 지속적으로 종료된다면, 메모리 관리를 Kernel heuristic에 맡기기보다 vm.overcommit을 2로 설정하고, overcommit_ratio를 적당한 수치로 조정해볼 필요가 있다.

 

 

혹시 swappiness를 처음 만났다면
  • vm.swappiness = 0 : 스왑 사용안함 (실제로 swap이 disable되지는 않는다. 참고)
  • vm.swappiness = 1 : 스왑 사용 최적화
  • vm.swappiness = 60 : 기본값
  • vm.swappiness = 100 : 적극적으로 스왑 사용

규칙으로 설정되며, 현재 서버의 swappiness 값은 다음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.

$ sudo sysctl -n vm.swappiness
60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1684 의료영상분석장치 분류 코드 WHRIA 2020.04.22 52
1683 exif javascript orientation WHRIA 2020.04.30 52
1682 annotation service WHRIA 2020.05.03 52
1681 git 특정 버젼 WHRIA 2020.07.11 52
1680 raid 6 WHRIA 2020.07.23 52
1679 학술저널 받는법 WHRIA 2015.11.30 53
1678 lvm 확장 [1] WHRIA 2019.12.25 53
1677 boost 1.35 build WHRIA 2016.05.01 54
1676 chatbot WHRIA 2020.04.03 54
1675 mysql 암호화 [2] WHRIA 2020.04.24 54
1674 acquihire [1] WHRIA 2020.05.05 54
1673 software validation [1] WHRIA 2020.05.10 54
1672 윈도우 raid ahci 전환 WHRIA 2019.12.26 55
1671 XP shutdown 시 강제종료 시키기 WHRIA 2016.08.16 57
1670 cloudfront WHRIA 2023.04.09 57

Powered by Xpress Engine / Designed by Sketchbook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